미시경제학의 경우, 수요⋅공급이론, 시장이론, 생산요소시장과 소득분배이론에서 대
부분의 문제가 출제되고 있다. 수요⋅공급이론에서는 기본이론과 탄력성, 그리고 이를
응용한 가격통제(최고가격제와 최저가격제) 및 조세의 귀착과 관련된 문제가 주로 출제
되고 있으며, 소비자이론에서는 소비자의 효용극대화 조건, 즉 소비자균형에 대해 묻는
문제가 주를 이루고 있다. 공인노무사 시험의 성격에 맞게 생산요소시장과 소득분배이
론에서 가장 많은 문제가 출제되고 있는데, 특히 생산요소시장이론의 경우에는 기본이
론과 계산방법까지 꼼꼼하게 학습할 필요가 있겠다. 시장실패와 관련해서는 외부성, 공
공재의 특성 등을 묻는 문제가 출제되고 있으며, 일반균형이론과 후생경제학 및 정보경
제학은 출제빈도도 낮을뿐더러 출제되는 문제의 난이도도 그리 높지 않기 때문에 기본
적인 내용 정도만 숙지하면 충분할 것으로 판단된다.
거시경제학의 경우, 국민소득결정이론, 화폐금융론, 총수요-총공급이론 및 실업과 인
플레이션에서 문제가 주로 출제되고 있다. 국민소득결정이론에서는GDP의 측정과 관
련된 문제가 주로 출제되고 있으며, 화폐금융론에서는 통화승수 및 금융정책수단을 묻
는 문제의 출제빈도가 높다. 총수요-총공급이론에서는 재정 및 금융정책과 관련된 내
용, 총수요곡선이나 총공급곡선의 이동과 관련된 내용이 대부분이다. 실업과 인플레이
션에서는 실업의 측정 및 유형, 인플레이션의 경제적 효과, 필립스곡선과 관련된 문제
가 주로 출제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실업과 관련된 문제(실업률 계산 문제 등)는 매
년 빠지지 않고 출제되고 있다. 학파별 비교에서는 출제비중은 낮지만 효율성임금이론
과 관련된 문제가 주로 출제되고 있다. |